반응형
세포: 구조적, 기능적 인체구조의 기본단위로 생존에 필요한 기능 수행
조직: 구조나 기능이 비슷한 세포들로 구성
기관: 둘 이상의 조직으로 구성
계통: 관련 기능을 하는 유사기관이 모인 목적 수행 단위
항상성(homeostasis)
- 인체의 내환경(세포외액, extra cellular fluid, ECF)이 물리, 화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
- 정체된 상태가 아닌 끊임없이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역동적 항정상태
음성되먹임기전(negative feedback mechanism)
- 항상성의 균형이 깨졌을 때, 정상으로 회복하려는 움직임
(ex. 체온, 혈당, 심박, 호흡, 삼투질 농도 등)
자극→ 수용체→ 구심로→ 중추→ 원심로→ 효과기→ 반응→ 음성되먹임기전→ 자극
양성되먹임기전(positive feedback mechanism)
- 자극을 촉진, 강화, 증가
ex. 지혈 (혈소판 손상→ 화학물질 생성→ 혈소판 응집 촉진)
분만 (태아 무게로 인해 압력 수용체 흥분→ 옥시토신 분비→ 자궁수축)
참고문헌: 최명애 외, 생리학 제6판, 현문사, 2020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학이란 (0) | 2020.09.10 |
---|---|
간호의 역사1 (0) | 2020.09.09 |
기본간호학2_배설1 (0) | 2020.09.06 |
해부학_팔다리 근육 (0) | 2020.09.04 |
기본간호학2_경구투약 절차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