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변(defecation): 소화된 음식물의 잔해물을 장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
결장: 흡수, 분비, 배설
직장: 배변 직전 배설물이 머무는 곳
직장의 정맥이 팽창하게 되면 치핵(hemorrhoid) 발생
항문관, 항문: 배변 조절
배변은 자율신경계 조절을 통해 진행 됨.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system): 장운동 자극
교감신경(sympathetic system): 장운동 억제
대장의 집단연동운동: 하루 3-4회 식후 1시간 동안 가장 활발 -> 변의 유발
배변반사:
- 배변이 직장에 도달하면 직장내 압력이 상승 ( 30~40mmHg)
- 신경을 통해 S3,S4(배변중추)에서 시상하부로 전달
- 외항문 괄약근은 수의적으로 배변을 조절
- 직장 내압 18mmHg 정도에서 변의 발생
- 직장 내압 55mmHg 정도는 변을 참을 수 없는 상태
배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장 발달 단계, 음식과 수분, 배변 습관, 활동과 근긴장도, 정신적 요인
진단검사, 약물, 통증, 수술과 마취, 질병, 임신
배변문제: 변비, 설사, 고창, 변실금, 분변매복
참고문헌: 양선희, 기본간호학2 제4판, 현문사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의 역사1 (0) | 2020.09.09 |
---|---|
인체의 구조적 구성과 항상성 (0) | 2020.09.08 |
해부학_팔다리 근육 (0) | 2020.09.04 |
기본간호학2_경구투약 절차 (0) | 2020.09.04 |
기본간호학2_투약 과정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