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혈압 2

고혈압과 동맥질환의 종류

혈압 140/90mmHg 이상(60세 이상: 150/90mmHg 이상) - 본태성 고혈압 - 이차성 고혈압 1) 콩팥혈관질환: 콩팥동맥 협착 2) 콩팥실질질환: 레닌, Na 축적 3) 부신피질질환: 쿠싱증후군 1. 증상: 근쇠약, 체중증가, 불안정, 발작성 두통, 발한 2. 검사: 20세 이전, 50세 이후, 180/120mmHg 이상, 안저 검사상 병변이 있는 경우. 3. 치료약물 1) 이뇨제 - chlorthiazide(Diuril): 물, Na흡수 억제 - frosemide(Lasix): 강력하게 작용하지만 지속시간이 낮음. - spironolactone(aldactone): 저칼륨혈증 예방. 2) b blocker - propranolol, metoprolol: 혈관 이완, 혈압 감소 3) CCB..

Nursing 2023.01.20

기본간호 이론 요약_2

체온, 맥박, 혈압, 호흡 및 산소포화도는 건강상태의 지표로서 각 기관의 효과를 반영하는 중요한 활력징후이다. 주관적 증상인 통증도 활력징후에 포함된다. 활력징후는 건강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기초자료이며 환경, 피로, 질병 등의 요인에 의해 정상범위에서 벗어난다. 즉, 활력징후의 변화는 신체기능의 변화를 나타낸다. 활력징후는 간호진단을 규명하고 중재를 수행하며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간호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활력징후의 변화는 의학, 간호의 중재를 필요로 하는 신호이다.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신속, 효율적인 방법이다. 활력징후 측정은 제시된 지침을 활용한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의 책임이 있고, 안정된 대상자나 특정 활력징후의 측정은 위임할 수 있다. 그러나 결과분석과 의..

Nursing 202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