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혈압 140/90mmHg 이상(60세 이상: 150/90mmHg 이상)
- 본태성 고혈압
- 이차성 고혈압
1) 콩팥혈관질환: 콩팥동맥 협착
2) 콩팥실질질환: 레닌, Na 축적
3) 부신피질질환: 쿠싱증후군
1. 증상: 근쇠약, 체중증가, 불안정, 발작성 두통, 발한
2. 검사: 20세 이전, 50세 이후, 180/120mmHg 이상, 안저 검사상 병변이 있는 경우.
3. 치료약물
1) 이뇨제
- chlorthiazide(Diuril): 물, Na흡수 억제
- frosemide(Lasix): 강력하게 작용하지만 지속시간이 낮음.
- spironolactone(aldactone): 저칼륨혈증 예방.
2) b blocker
- propranolol, metoprolol: 혈관 이완, 혈압 감소
3) CCB: verapamil, amlodipine, diltiazem
4. ARB: Losartan(Cozaar): BP drop
* 고혈압성 위기
1. 증상: 두통, 어지러움, 지남력 저하, 혈압 상승, 시야 흐림.
2. 중재: 반좌위, 산소공급, 약물(nitroprusside,nicardipine IV)
2. 동맥질환
1) 대동맥 장애
(1) 동맥경화: 동맥의 탄력성 저하
(2) 죽경화: 이물질 축적, 파열 가능성
- 위험요인: 조절 가능요인과 불가능 요인 확인.
- 간호: 지방섭취 감소, 약물, 금연, 운동
(3) 동맥류
- 증상: 복부박동, 인접장기 압박,통증(허리, 배~ 가슴, 등), 파열증상(핍뇨, 심박동 장애, 의식소실)
- 합병증: 파열, 혈전, 색전
(4) 박리형 대동맥류: 동맥의 장축을 따라 찢어짐, 사망률 높음.
- 증상: 앞가슴, 등 부위의 심한 통증, 창백, 발한, 오심, 구토, 의식소실, 감각이상
2) 말초동맥 장애
(1) 급성 동맥 폐색 질환
- 원인: 색전, 혈전 (상지에 호발)
- 증상: 6P(통증, 창백, 감각소실, 맥박소실, 체온, 마비
- 치료: 섬유소용해제(Streptokinase, t-PA), 금기(Aspirin, Indomethacin), 혈관경련 완화(papaverine, talazoline), 진통, 불안감소
(2) 만성 동맥 폐색 질환
- 병태생리: 남성, 하지에 호발하며 혈류 차단으로 조직괴사
- 약물: 간헐파행 치료(Trental, Pletal), 혈소판응집 방해와 혈관이완(Cliostazol)
- 수술: 경피적 혈관내 성형술
- 수술 후 간호: 광범위 항생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사용 및 맥박 체크. 수술 후 종창은 정상이며 걸을 때만 탄력붕대 사용
(3) 레이노 현상(레노 병)
- 증상: 손 끝 창백과 괴저, 통증, 무감각
- 교육: 카페인과 초콜릿 등의 섭취 제한, 금연
(4) 폐색성 혈전 혈관염(버거씨병)
- 증상: 추위 노출 후 통증, 간헐파행, 궤양, 감각이상, 피부변화
- 합병증: 궤양, 괴저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혈구 관련 질환(빈혈의 종류) (0) | 2023.01.20 |
---|---|
정맥질환과 림프질환의 종류 (0) | 2023.01.20 |
요로계 감염 (0) | 2023.01.20 |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0) | 2023.01.18 |
급성 및 만성 콩팥기능상실: 신부전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