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급성 신부전 내용요약
1. 원인
- 신전성: 콩팥혈류 감소
- 신성: 콩팥 독성물질 노출(Amikan, Amphotericin B, rifampin, Cisplantin)
- 신후성: 요로계 폐색
2. 단계
- 시작기: 혈청 creatinin, BUN 상승
- 소변감소기: 허혈이 원인인 경우 핍뇨, 대사산증, 뇌증상(피로, 혼미)
- 이뇨기: 소변량증가, 저혈압, 탈수, 나트륨, 칼륨감소
- 회복기: Creatinin, BUN 감소
3. 증상
- 신전성: 소변감소
- 신성: 소변감소 및 무뇨
- 신후성: 소변감소, 무뇨, 요독증
3. 특징
빈혈, WBC증가, 혈소판기능장애, Creatinin, BUN, K+, Phospate 증가, Ca+감소
이화작용 시 BUN, 요소, 인, 칼륨 증가, 나트륨제한 필요.
4. 치료: 수액(K+ 없는 것), 이뇨, dopamine제제, 항생제
5. 콩팥기능 대체요법
(1) 혈액투석: 쇄골하정맥, 속목정맥 이용.
(2) CRRT: 며칠에 거쳐 노폐물 제거
만성 신부전 내용요약
1. 진단: 3달 이상의 콩팥 기능저하
2. 원인: 당뇨, 고혈압, 만성토리콩팥염
3. 병태생리: 혈청 질소 노폐물의 축적, 탄수화물 장애, 중성지방 상승
- 칼륨수치: 6.0~7.0 상승 시 T파 상승, QRS파 확장, PR간격 확장, P파 편평
- 고혈압: 원인이자 결과
- 혈압성 뇌병증: 경련, 혼수
- 신경계문제 치료는 투석이나 콩팥이식
4. 전형적 증상: 허약, 졸음, 숨가쁨.
5. 치료: 이뇨제(콩팥 및 귀 독성 유발) 대신 투석, 혈청 인 배설 위해 아세트산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알루미늄 사용.
6. 식이
- 나트륨 제한
- 단백질 제한 + 아미노산 섭취
- 칼륨 제한
- 인 제한 (식사 중 복용)
- 비타민 제한 (VitD + 칼슘 + 철분)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로계 감염 (0) | 2023.01.20 |
---|---|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0) | 2023.01.18 |
요로계 검사(신장 검사) (1) | 2023.01.18 |
콩팥의 기능 및 요로계 관련 용어 (0) | 2023.01.18 |
간호 기획의 개념과 유형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