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콩팥: 기능적 단위, Nephron
기능: 소변생성 하루 1500~2000ml
체내 항상성 유지, 혈압조절, 대사조절
*체내 항상성 유지
레닌-안지오텐신1-안지오텐신2-알도스테론
-안지오텐신2: 말초혈관수축 -> 혈압상승, 혈액증가
-알도스테론: 나트륨, 수분의 재흡수
*대사기능(VitD합성, 인슐린 분해, 적혈구 조혈인자 형성,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핍뇨 Oliguria | 24hr 배뇨량 100~400ml |
무뇨 Anuria | 24hr 배뇨량 100ml 이하 |
배뇨곤란 Dysuria | 배뇨 시 통증 |
요절박 Urgency | 갑작스런 강한 요의로 배뇨를 참을 수 없음 |
빈뇨 Frequency | 1일 배뇨 횟수가 증가된 상태 |
소변주저 Hesitancy | 배뇨 시작이 지체되고 어려움 |
요실금 Incontinence | 방광에서 소변이 불수의적으로 누출 |
야간뇨 Nocturia | 밤 동안 배뇨하기 위해 두번 이상 깸 |
혈뇨 Hematuria | 소변에 적혈구가 검출됨 |
농뇨 Pyuria | 소변이 혼탁 |
다뇨 Polyuria | 24hr 배뇨량이 3000ml 초과 |
* 콩팥에 영향을 주는 약물
cephalosporin, sulfonamide, aminoglycoside(귀, 콩팥 독성), Amphotericin B, Salicylate, Acetaminophen, Cisplantin
반응형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및 만성 콩팥기능상실: 신부전 (0) | 2023.01.18 |
---|---|
요로계 검사(신장 검사) (1) | 2023.01.18 |
간호 기획의 개념과 유형 (0) | 2023.01.18 |
간호관리 이론 정리 (0) | 2023.01.18 |
간호관리 역량, 업무, 중요성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