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단검사
BUN 6~20mg/dL 콩팥 + 간 기능
Creatinin 0.6~1.5mg/dL 콩팥기능 평가에 더 정확
K: 배설기능 저하시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의 치료 |
- Regular insulin IV: glucose와 함께 K+를 세포 내로 이동 - NaHCO3(중탄산염): K+를 세포내로 이동시켜 고칼륨혈증을 개선, IV - calcium gluconate IV: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전도 변화 발생시 사용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Kayexalate): 구강이나 정체관장으로 퉁여하면 장관 내 K+와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 - 투석: 혈액 투석으로 30분~1시간 내에 K+를 정상으로 회복 (Kayexalate + Sorbitol) - 식이제한: K+섭취를 1일 40mEq로 제한 |
Ca: Vit D 비활성 시 저칼슘혈증
• Urinalysis(소변검사) 의미
단백질: 사구체질환
케톤: 지방대사
포도당: 정상소변에도 함유, 요세관 손상
빌리루빈: 간기능, 담관폐쇄
백혈구: 농뇨, 요로계 염증질환
• 청소율 검사(CCR: Creatinin clearance rate)
: 콩팥기능을 정확히 측정하는 법
: 토리여과율 감소시 혈청 creatinin증가
• 소변배양검사
: 무균상태 유지. 항생제 투여전 실시
: 배양, 민감도 결과 나올 때까지 광범위 항생제 사용.
• 삼투질 정상범위 285~295mOsm/kg
• 세포학적 검사: 아침 첫 소변은 사용하지 않으며, 방광암 진단, 재발 확인에 사용.
• 배설성 요로조영술: 조영제 배설되는 과정을 모니터
*조영제 이용 시 간호
- Aminoglycoside계, NSAIDs계 약물 사용 확인
- Metformin(glucophage) 복용여부 확인: 치명적 합병증(유산증) 유발하므로 48hr간 복용 중단.
• 콩팥동맥 조영술: 대퇴동맥 천자
검사 전: 동의서, 금식, PT확인
검사 후: 모래주머니, 침상안정, 족배동맥 확인 등
• 방광내시경: 구조적 이상 배뇨통증 원인 확인을 위해 시행
검사 전: 불안 감소를 위한 진정제
검사 후: 감염예방, 항콜린성 약물, 진통제, 요도부종으로 인한 요정체, 전립선 비대
• 콩팥 스캔: 관류 및 기능평가. 폐쇄진단. 이동식 변기
• 요역동학 검사: 소변 저장, 배출기능 평가
• 콩팥생검: 콩팥 병리의 확인
금기: 한쪽 콩팥만 기능, 감염, 종양, 수신증, 고혈압, 응고장애 등
검사 전: PT, PTT, Platelet 측정 및 금식
검사 후: 혈전, 요정체 예방, IV 빠르게 주입, 3000ml/day의 물섭취 4hr 안정, 배뇨시마다 검사물 수집, 2주간 활동 자제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0) | 2023.01.18 |
---|---|
급성 및 만성 콩팥기능상실: 신부전 (0) | 2023.01.18 |
콩팥의 기능 및 요로계 관련 용어 (0) | 2023.01.18 |
간호 기획의 개념과 유형 (0) | 2023.01.18 |
간호관리 이론 정리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