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 질환
1. 실혈로 인한 빈혈
1) 급성 출혈: shock증상(허약, 혼미, 불안, 축축한 피부, 저혈압, 빈맥) -> 전혈 수혈
2) 만성 출혈: 원인 교정이 필요 -> p-rbc(농축적혈구) 사용.
*혈액제제
전혈: 500ml, 대량출혈, 체액과다 주의
농축적혈구: 250ml, 체액과다 위험시, 보편적으로 사용, 2hr 내 수혈
신선동결혈장(FFB): 혈우병, DIC, 혈액응고인자, 30min 내 수혈
혈소판: 혈소판 감소, 골수기능억제, DIC
2. 영양장애로 인한 빈혈
1) 철분결핍성 빈혈
(1) 원인: 유아, 가임기여성, 철분섭취 부족, 흡수장애, 철분소실
(2) 증상: 피로, 창백, 권태, 빈맥, Plummer-Vinson syndrome(삼킴곤란, 구순염, 위축성 설염, 위점막위축)
(3) 간호: 간, 고기, 생선, 당근, 난황 섭취, 철분제+VitC를 음식 섭취후 복용.
2) 대구성 빈혈
2-1) VitB12 결핍성 빈혈
(1) 원인: 악성빈혈(내적인자 부족)
(2) 증상: 빈혈, 신경계증상(말초신경병증, 균형소실, 혼동, 기억력 감소), babinski(+)
(3) 검사: Schilling test
(4) 치료: Vit B12 규칙적 투여(평생)
2-2) 엽산결핍성 빈혈
(1) 증상: 악성빈혈(허약, 피로, 체중감소, 빈맥, 권태), 혀의 통증, 신경계 증상 없음
(2) 치료: 엽산 경구섭취, 종합비타민
3. 생산장애로 인한 빈혈
1) 범혈구 감소증
(1) 증상: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2) 치료: 면역억제, 수혈, 조혈모세포, 비장절제
(3) 간호: 감염, 출혈 예방
4. 용혈성 빈혈
1) 지중해성 빈혈: 유전성
(1) 증상: 혈청 빌리루빈 증가, 대소변의 Urobilinogen증가
(2) 치료: 중증일 경우 수혈하여 Hb 10mg/dL 유지
2) 겸상세포 빈혈
(1) 원인: 적혈구의 저산소상태 노출
(2) 증상: 통증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극성 장애의 특성 (0) | 2023.01.24 |
---|---|
우울증, 우울장애의 진단, 원인, 치료 (0) | 2023.01.21 |
정맥질환과 림프질환의 종류 (0) | 2023.01.20 |
고혈압과 동맥질환의 종류 (0) | 2023.01.20 |
요로계 감염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