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1 호흡기능장애 아동 간호
- 영아는 비강호흡
- 기도 직경이 작아지면 기도저항 증가
- 영아는 호흡기 질병에 취약
- 호흡곤란 시 쉽게 흉골하와 늑간이 함몰.
- 호흡양상이 불규칙한 것은 정상
- 열 손실이 많고 산소소모량 큼(체표면적)
1. 호흡기 구조
1) 흉벽과 호흡근
2) 기도
-전도기도: 비강, 부비동, 비인두, 후두, 기관, 세기관지
=무용공간: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음
주된 기능은 여과, 가온, 가습
영아 후두덮개는 U 자형이라 폐쇄되기 쉬움.
급성 상기도 감염
1. 급성 바이러스성 비인두염 =감기, =급성 비염 nasopharyngitis
1) 원인: rhinovirus, RSV
2) 병태생리: 조직 부종과 비강내 공기흐름 방해.
3) 임상증상: 발열, 불안정, 권태감, 구토, 설사 주로 3 세 이후 나이든 아동, 7 일정도면 회복
4) 진단: 증상과 신체검진
5) 치료: 자연경과를 보이는 질병으로 대증요법 해열 -Ibuprofen, Acetaminophen
(aspirin-Reye syndrome 유발) 점막부종 감소 - 비강 점적제
심한 마른기침 – dextromethorphan (기침억제)
금기: 항히스타민, 거담제, 항생제
6) 간호: 엎드려 눕히고 반좌위, 흡입기로 흡인, 수분섭취, 차갑거나 따듯한 음료 제공, 영양공급, 손 씻기, 감염자와 접촉 피하기.
2. 급성 연쇄구균성 인두염 pharyngitis
1) 원인: A군B용혈사슬균,
2) 병태생리: 합병증은 영구적 손상 유발 (급성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 등)
3) 임상증상: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 구강호흡, 구강건조
4) 진단: 인두배양 시행(48hr 소요) , ASO 항체 반응검사
신속연쇄구균항원선별시험(5~10min 소요)
5) 치료
연쇄구균 제거 – penicillin, ampicillin, amoxicillin 경구투여 인후통 – ibuprofen, acetaminophen
Penicillin 에 민감한 경우 erythromycin 투여.
6) 간호: 항생제를 도중에 중단하지 않도록 강조.
3. 편도염 laryngitis
1) 원인: virus, 세균(주로 인두염과 함께 발생)
2) 병태생리: 아이의 편도가 성인보다 큼.
3) 임상증상: 연하곤란, 호흡곤란, 구강호흡, 비음, 중이염, 청력
4) 치료
(1) 내과적 치료: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대증요법.
B 용혈성 연쇄구균이 원인이면 항생제 치료.
(2) 외과적 치료
-편도절제: 편도의 과잉증식, 상기도 폐쇄, 종양
-아데노이드 절제: 아데노이드 비후로 호흡곤란
-3 세 이하 아동은 아데노이드를 절제하는 경우 편도절제 X
*편도절제는 출혈 위험과 림프절 과잉증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3~4 세 이전에는 하지 않고 주로 6 세 이후에 시행.
5) 간호: 연식, 유동식, 가습기, 식염수 함수, 해열진통제 투여
- 기도폐색 예방을 위해 흔들리는 치아는 수술 전 제거
- 수술 후 배액 촉진을 위해 복위나 측위
- 수술 후 출혈 징후는 아동이 혈액을 계속 삼키는 것.
- 출혈 확인은 인후에 빛을 비추어 출혈을 직접 관찰.
- 혈압저하는 쇼크를 의미, 출혈 시 즉시 재소작이나 결찰
- 절제술 후에는 흡인기를 침상 옆에 배치.
- 인후통증 조절을 위해 아이스칼라, 비경구적 진통제 투여.
- Aspirin 은 금기, 찬물이나 인공과즙(붉은, 갈색음료 XX)
- 금기: 붉은 or 갈색음료, 빨대와 유제품
- 공급: 죽, 스프, 으깬 감자
(1) 가족의 지지와 간호: 양념 많은 음식을 제한.
- 적절한 양의 수분과 음식 섭취, 진통제와 아이스칼라 사용.
- 수술 후 얼마간 목소리 변화 가능성, 수술 1-2 일 후 정상생활 O
5. 중이염 otitis media
: 6 개월~2 세 빈도↑, 7 세 이후에는 드뭄.
1) 원인: Streptococcus pneumoniae, Hemophilus influenzae
인공영양아는 중이염 발생빈도 높음.
2) 병태생리:
- 유스타키오관의 기능장애
- 유스타키오관의 기계적 또는 기능적 폐쇄
- 중이의 진공상태로 인한 분비물 축적은 삼출성 중이염 유발
3) 임상증상
급성: 귀통증, 안절부절 못함, 통증 호소, 베개에 비빔, 40 도 발열 귀 뒤쪽과 경부림프절 부종, 콧물, 구토, 설사 등
삼출성: 아프지 않은 것처럼 보임, 팽만감, 삼킬 때 소리 등
4)진단: 이경으로 관찰하여 진단
5) 치료
(1) 급성중이염
- 1 차 선택약으로 ampicillin 이나 amoxicillin 2 주간 투여 - 해열진통제 ( Ibuprofen, Acetaminophen)
(2) 재발성 중이염
- 6 개월에 3-4 회 이상, 1 년에 6 회 이상
- 증상이 심한 경우 항생제, 스테로이드, 면역요법 등.
- 필요 시 고막절개술 튜브 or 아데노이드 절제 필요.
(3) 삼출성 중이염
- 통증이나 발열증상이 적음.
- 중이의 삼출액 제거와 정상적 청력유지가 치료목표
(4) 예후: 드물게 청력장애 발생
이미지출처: https://www.msdmanuals.com/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염, 폐렴, 결핵의 원인, 증상, 치료 (0) | 2023.01.18 |
---|---|
크룹 증후군 (급성 후두개염,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 급성 경련성 후두염, 급성 기관염) (0) | 2023.01.17 |
함익병 원장님 피부, 여드름관련 요약 정리 수정본 (0) | 2023.01.16 |
아동을 위한 기본 간호 (0) | 2023.01.15 |
입원 아동 간호 (1)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