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기획기능과 간호적용
1 절 기획과 의사결정
1. 기획의 개념
1) 기획과 계획의 차이
기획: 실행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할 수 있는 과정을 만드는 과정
계획: 기획을 통해 산출된 내용을 실행하는 과정
2) 기획의 필요성
조직 목표달성, 환경변화 대처, 자원낭비 최소화, 통제기준 설정
3 )기획의 특성
-Plan 보다 상위 개념이면서 동적인 개념.
-6 하원칙의 기본적 질문에 대한 해답
-조직의 목표와 관련된 활동, 다양한 목적
-상층 관리자에게 더욱 중요한 기능, 전략과 관련
4) 기획의 원칙
목적부합: 뚜렷한 목표 설정을 통해 능률 향상 및 자원절약
간결: 미사여구나 수식어 불필요, 전문용어 X, 평이하게 기술
탄력: 변하는 상황에 융통성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수립
안정: 안정성이 높을수록 효과적이고 경제적
장래예측: 경험을 통해 예측기술을 정교하게 발달
포괄: 제반요소를 빠짐없이 포괄
균형: 다른 기획과 업무 사이에 균형과 조화
경제성: 사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 새로운 자원 최소화
필요성: 불필요한 기획, 비용 소모가 큰 기획은 불필요
계층화: 일반적이고 추상적이 높은 것부터 시작, 점차 구체화
5) 기획의 과정
비전설정: 조직의 존재이유와 발전방향
목표설정: 일정 기간내 성취하려는 목표
환경요소 예측: 목표 성취와 관련된 환경의 영향 파악
가용자원평가: 목표를 위해 확보할 수 있는 인력, 재정 등
대안개발: 수행가능한 대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함.
기획선택: 대안 중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기획 선택
기획실행: 실행을 통해 기대효과 확인
평가, 수정: 기대결과와 실제결과 비교 및 필요 시 기획수정
6) 기획의 방법
기획예산제도, PPBS: 장기적 계획수립과 단기적 예산편성
예산: 운용계획을 숫자형태로 바꾼 것.
PERT, CPM -> 기획, 통제 장치
PERT: 불확실한 상태에서의 기획, 통제를 위한 작업망 체계모형
주요활동 확인 및 진행도표 대로 나열, 소요시간 설정 주경로기법,
CPM: 개발, 활동 소요시간&비용문제 해결위해 시도
PERT 와 유사하나 하나의 완성시간만을 추정.
2. 기획의 유형
-전략적 기획
조직 전체의 활동 포괄, 위험하고 불확실한 환경(목적)
상층 관리층이 주관, 장기기획과 관련, 장기적 기업 목적과 관련
-전술적 기획
하위 부서의 기획기준 제공, 덜 위험, 낮은 확실성, 중간관리층. 중기기획과 관련, 장기적 목적의 수행과 관련(수단/목적)
-운영적 기획
하위조직 단위의 활동을 기획, 확실성이 높은 환경 하의 기획 실무관리자, 일반 구성원이 주관, 단기 기획과 관련
중기적 목적의 수행과 관련(수단)
-일시적 기획: 달성되면 더 이상의 기획이 필요 없음(프로그램, 프로젝트)
-상시적 기획: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활동에 사용(정책, 절차, 규칙)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로계 검사(신장 검사) (1) | 2023.01.18 |
---|---|
콩팥의 기능 및 요로계 관련 용어 (0) | 2023.01.18 |
간호관리 이론 정리 (0) | 2023.01.18 |
간호관리 역량, 업무, 중요성 (0) | 2023.01.18 |
간호관리란?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