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ursing 49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의 종류

0. 불안장애의 정의 - 불안 반응은 정상적 반응과 비정상적 불안으로 구분됨. - 불안은 동기를 부여하기부터 마비시킬 정도의 공포를 일으켜 움직이지 못하게 함. - 불안: 내적, 외적 자극에 대한 걱정이나 두려움 등의 감정 위협으로 인지할 때는 불안 수준이 증가하며 생리적 각성, 인지적 과정 및 대응전략으로 이뤄짐. 생리적 각성이나 투쟁-도피반응은 개인이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는 신호. 불안수준 불안정도 지각, 주의집중 행동 경증 지각영역 큼 증상 없음 중등도 지각영역 축소 선택적 부주의 집중 유도시 집중 가능 기능저하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 발한, 근 긴장 중증 지각영역 감소 유도해도 집중 불가능 불안인식이 불가 불안표현 불가 공황: 공황 뒤 정신병적 붕괴 지각영역 현저히 감소 왜곡에 의해 과장 생존에..

Nursing 2023.01.25

양극성 장애의 특성

0. 양극성 장애의 종류 - 제1형 양극성 장애 - 제 2형 양극성 장애 - 순환성 장애 - 경조증 - 조증 1. 임상경과: 만성적인 순환장애, 조기 발병 환자는 삽화가 빈번함. 이른 나이, 가족력은 삽화의 빈도에 영향. 증상 예측이 곤란하고 다양한 증상과 심각한 기능장애 동반. 2. 진단기준 1) 제 1형 양극성 장애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되며 조증이 반복적으로 발생, 일생동안 반드시 한번 이상의 조증삽화가 있어야 함. 일생동안 반드시 한번 이상의 조증삽화가 있어야 함. 단독조증, 조증삽화, 경조증 삽화, 우울증 삽화로 구분 조증은 1주 이상, 경조증은 4일 이상 기분상태가 지속. 평균 발병연령 30세 이전. 조증 삽화: 고양되고 즐거운 상태, 일주일 동안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으로 기분이 고조되거나, 팽창..

Nursing 2023.01.24

우울증, 우울장애의 진단, 원인, 치료

우울증(우울장애) 1. 임상경과 : 진행성이며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 : 다른 정신질환이 있을 때 재발 위험성이 높음. : 25%에서 첫 우울 삽화 이후 6개월 내 재발을 경험 2. 진단 기준 1) 주요 우울장애: 흥미나 즐거움이 저하되는 증상을 포함한 1회의 주요 우울증 삽화가 최소 2주 이상 관찰되며 7가지 증상(수면장애, 식욕변화, 집중력 저하, 에너지 상실, 초조, 지체, 무가치감, 죄책감, 자살사고) 중 5가지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 2) 지속성 우울장애 : dysthymia 증상이 2가지 이상이며 2번 이상 발생 + 2년 이상, 주요 우울장애보다 약하지만 만성적인 상태 3) 파괴적 기분조절부전 장애: 6~12세 사이에 1년 이상 파괴적 분노발작, 분노표출과 공격적 행위가 주..

Nursing 2023.01.21

적혈구 관련 질환(빈혈의 종류)

적혈구 질환 1. 실혈로 인한 빈혈 1) 급성 출혈: shock증상(허약, 혼미, 불안, 축축한 피부, 저혈압, 빈맥) -> 전혈 수혈 2) 만성 출혈: 원인 교정이 필요 -> p-rbc(농축적혈구) 사용. *혈액제제 전혈: 500ml, 대량출혈, 체액과다 주의 농축적혈구: 250ml, 체액과다 위험시, 보편적으로 사용, 2hr 내 수혈 신선동결혈장(FFB): 혈우병, DIC, 혈액응고인자, 30min 내 수혈 혈소판: 혈소판 감소, 골수기능억제, DIC 2. 영양장애로 인한 빈혈 1) 철분결핍성 빈혈 (1) 원인: 유아, 가임기여성, 철분섭취 부족, 흡수장애, 철분소실 (2) 증상: 피로, 창백, 권태, 빈맥, Plummer-Vinson syndrome(삼킴곤란, 구순염, 위축성 설염, 위점막위축) (..

Nursing 2023.01.20

정맥질환과 림프질환의 종류

정맥질환 https://www.canadaveinclinics.ca/superficial-vein-thrombosis-complications-of-varicose-veins/ 1. 증상: 부종, 종창, 열감, 통증, 압통, 발적, Homan sign(+) 2. 간호: 마사지 금지, 탄력스타킹, 온습포 1) 항응고요법: heparin or wafarin (1) Heparin: 단기, 신속, 예측가능, IV or sc, q4~6h, PTT의 1.5~2.5배, 길항제 Protamine sulfate (2) Wafarin: 장기, 매일 PT 1.5~2.5배 * 출혈 시 수혈 준비 * 혈전용해제: 급성 폐색 시 3일 이내, 출혈 시 즉시 중단 1. 증상: 가죽같은 갈색 피부, 부종, 습진, 피부염 2. 간호: ..

Nursing 2023.01.20

고혈압과 동맥질환의 종류

혈압 140/90mmHg 이상(60세 이상: 150/90mmHg 이상) - 본태성 고혈압 - 이차성 고혈압 1) 콩팥혈관질환: 콩팥동맥 협착 2) 콩팥실질질환: 레닌, Na 축적 3) 부신피질질환: 쿠싱증후군 1. 증상: 근쇠약, 체중증가, 불안정, 발작성 두통, 발한 2. 검사: 20세 이전, 50세 이후, 180/120mmHg 이상, 안저 검사상 병변이 있는 경우. 3. 치료약물 1) 이뇨제 - chlorthiazide(Diuril): 물, Na흡수 억제 - frosemide(Lasix): 강력하게 작용하지만 지속시간이 낮음. - spironolactone(aldactone): 저칼륨혈증 예방. 2) b blocker - propranolol, metoprolol: 혈관 이완, 혈압 감소 3) CCB..

Nursing 2023.01.20

요로계 감염

요로계 감염 1. 원인: E-coli, staphylococcus 등 2. 증상: 뿌옅고 악취나는 소변, 하복부 통증, 열, 오한, 옆구리통증 3. 진단검사 1) 소변검사: Urine culture. sensitivity check-> 적절한 항생제 사용 2) 혈액검사: WBC 상승 4. 치료: quinolone(ciprofloxacin) : 임신부, 18세 미만, 카페인 사용 금기 : 음식 또는 음료 섭취 1시간 전 or 2시간 이후 5. 간호 1) 감염관리 2) 교육 (1) 방광을 자극 하는 음식 금지(커피, 알콜, 토마토 등) (2) 요의를 참지 않도록 함. (3) 소변 산성화를 위해 Vit C, 크랜베리 섭취 (4) 헐렁한 속옷 착용 (5) 일 수분 3~4L 섭취 1. 원인: 성병 2. 증상: 작..

Nursing 2023.01.20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 콩팥기능 대체요법 1. 혈액투석 hemodialysis 1) 적응증: 체액과다, 고혈압, 신경계 증상 2) 준비: 동정맥샛길, 1~3개월, 운동필요, 동정맥 이식 2-4주 3) 간호 - 수술. 직후 환측 사지 상승 - 혈관통로가 있는 사지에서 혈압을 측정하거나 정맥 주사, 채혈 금지 e.g. Rt. arm: BP, IV, sample 금지 - 혈관통로가 있는 사지를 압박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게 한다. - 매일 자주(4시간마다) 진동을 촉진하고 잡음을 청진 - 말초맥박과 순환을 사정 - 일상적 ROM운동을 권장 - 바늘 삽입부위의 출혈유무와 감염증상을 사정 - 수면 시 혈관통로가 있는 사지 위로 무게가 가해지지 않도록 함 - 출혈 시 Protamine sulfate 사용. - 투석불균형증후군(뇌..

Nursing 2023.01.18

급성 및 만성 콩팥기능상실: 신부전

급성 신부전 내용요약 1. 원인 신전성: 콩팥혈류 감소 신성: 콩팥 독성물질 노출(Amikan, Amphotericin B, rifampin, Cisplantin) 신후성: 요로계 폐색 2. 단계 시작기: 혈청 creatinin, BUN 상승 소변감소기: 허혈이 원인인 경우 핍뇨, 대사산증, 뇌증상(피로, 혼미) 이뇨기: 소변량증가, 저혈압, 탈수, 나트륨, 칼륨감소 회복기: Creatinin, BUN 감소 3. 증상 신전성: 소변감소 신성: 소변감소 및 무뇨 신후성: 소변감소, 무뇨, 요독증 3. 특징 빈혈, WBC증가, 혈소판기능장애, Creatinin, BUN, K+, Phospate 증가, Ca+감소 이화작용 시 BUN, 요소, 인, 칼륨 증가, 나트륨제한 필요. 4. 치료: 수액(K+ 없는 것)..

Nursing 2023.01.18

요로계 검사(신장 검사)

• 진단검사 BUN 6~20mg/dL 콩팥 + 간 기능 Creatinin 0.6~1.5mg/dL 콩팥기능 평가에 더 정확 K: 배설기능 저하시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의 치료 - Regular insulin IV: glucose와 함께 K+를 세포 내로 이동 - NaHCO3(중탄산염): K+를 세포내로 이동시켜 고칼륨혈증을 개선, IV - calcium gluconate IV: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전도 변화 발생시 사용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Kayexalate): 구강이나 정체관장으로 퉁여하면 장관 내 K+와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 - 투석: 혈액 투석으로 30분~1시간 내에 K+를 정상으로 회복 (Kayexalate + Sorbitol) - 식이제한: K+섭취를 1일 4..

Nursing 2023.01.18